IoT, 스마트홈

라즈베리파이 설정기 (1) - 라즈비안 설치하기

Dr CK 2020. 1. 1. 22:05
반응형

현재 시놀로지 나스에 도커를 올려서 쓰고있는데

라즈베리파이에 도커를 올려서 한번 써보는게 어떨까 싶었다.

근데 이게 기본지식이 없으니 쓰기가 어렵다.

그래서 한번 정리 겸 포스팅하면서 하나하나 해보려고 한다.

 

(MacOS Catalina 에서 라즈베리파이 3 B+를 사용하여 진행했다)

 

1. 라즈비안 설치하기

먼저 라즈베리파이 홈페이지에서 라즈비안 이미지를 다운받는다.

https://www.raspberrypi.org/downloads/

 

Raspberry Pi Downloads - Software for the Raspberry Pi

Download free software for the Raspberry Pi, including NOOBS, Raspbian, and third-party operating system images. Beginners should start with NOOBS.

www.raspberrypi.org

그리고 microSD에 라즈비안을 설치하기 위한 프로그램인 balenaEthcher를 설치한다.

https://www.balena.io/etcher/

 

balena - Home

Infrastructure to develop, deploy, and manage connected devices at scale

www.balena.io

그런데 어째서인지 잘 진행이 되지 않는다.

balenaEthcher에서 "Something went wrong. If it is a compressed image, please check that the archive is not corrupted" 라는 에러 메세지가 자꾸 발생하면서 SD카드에 이미지 굽기가 안된다.

찾아보니 MacOS Catalina에서 발생하는 문제란다.

해결 방법은 터미널에서 아래 명령어를 입력하여 balenaEthcher을 실행하면 해결이 된다.

sudo /Applications/balenaEtcher.app/Contents/MacOS/balenaEtcher

 

이렇게 만든 SD카드를 라즈베리파이에 넣어서 전원만 넣으면 되기는 한데

나는 라즈베리파이를 따로 모니터에 연결하지 않고

맥북으로 원격연결해서 진행을 할 예정이기 때문에

SSH 설정을 열어줘야 한다.

방법은 ssh 파일을 만들어 놓은 microSD카드에 추가적으로 넣으면 된다.

이때 ssh 파일은 그냥 텍스트편집기 등으로 대충 만들고, 확장자를 지우면 된다.

파일도 첨부

ssh.zip
0.00MB

 

이제 라즈베리파이에 microSD카드와 랜선을 꼽고 전원만 연결하면 끝이다

 

2. 라즈비안 초기 설정하기

랜선을 연결하고 라즈베리파이를 부팅하고 접속을 해 줘야 한다.

SSH를 이용해서 접속을 해 줄건데, 맥os 는 이걸 기본적으로 지원을 한다.

맥 터미널에서 

ssh 아이디@ip주소

를 입력해주면 된다.

나의 경우 라즈베리파이의 ip주소가 192.168.0.30 이고, 기본 아이디는 pi이므로 (비밀번호는 raspberry)

ssh pi@192.168.0.30

을 입력하고, 비밀번호를 입력하면 접속이 된다.

 

만약 WARNING: REMOTE HOST IDENTIFICATION HAS CHANGED! 란 에러문구가 나오면 설정이 중복된 경우인데

ssh-keygen -R ip주소

를 입력후 물어보는 질문에 yes를 해주고 다시 접속을 해 주면 된다.

 

이후 처음 사용을 위해서 업데이트를 해주는데

sudo apt-get update
sudo apt-get upgrade
sudo reboot

를 입력해주고 재부팅을 하면 된다.

 

 

3. 참고

sudo raspi-config

의 명령어를 통해 아이디 / 비번 등의 설정을 바꿀수도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