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assistant 8

원격 컴퓨터 켜기 (WOL), 가상 스위치, 센서 만들기

Wake on Lan (WOL)을 이용하여 HA를 통해서 컴퓨터를 켤 수 있다. 컴퓨터가 WOL을 지원해야 하고, 유선으로 랜선이 연결되어 있어야 한다. WOL을 지원하고 유선으로 연결되어 있으면 컴퓨터 뿐아니라 NAS도 원격으로 켤 수 있다. WOL은 configuration.yaml 파일을 직접 손봐야 한다. configuration.yaml 파일을 열고 아무곳에나 wake_on_lan: 만 써주면 WOL 준비는 끝난다. 컴퓨터를 켤수 있도록 하는 버튼을 만들어야 하는데, 새로운 가상스위치를 만들어 줘야 한다. 이 명령어는 switch: 를 쓰면 되고, 이후 platform에 wake_on_lan, name에 원하는 이름, mac에 원격으로 켤 컴퓨터의 맥주소를 "AA:AA:AA:AA:AA:AA"의 ..

IoT, 스마트홈 2023.08.11

Home assistant에 TV 리모컨 넣기

집에 있는 Apple TV와 LG TV가 HA에 붙는것을 보고, TV를 HA로 제어해봐야겠다고 생각하고, 대시보드에 리모컨을 넣기로 하였다. 그렇게 해서 대시보드에 추가한 리모컨이 아래와 같다. 좀더 대시보드를 꾸밀수 있었다면 더 이쁘게 만들수도 있었겠지만 좀더 공부가 필요할것 같다. 위가 Apple TV, 아래가 LG TV 리모컨이고 관련 설명은 아래 링크에 있다. Media Player Instructions on how to setup your media players with Home Assistant. www.home-assistant.io LG webOS Smart TV Instructions on how to integrate a LG webOS Smart TV within Home Assi..

IoT, 스마트홈 2023.08.09

재실센서&위치추적 - Home assistant App (iOS)

Home Assistant를 사용하는 중요한 이유중의 하나는 바로 재실센서 및 위치정보이다. 홈자동화를 위해서는 내가 집에 있는지 아닌지를 확인하는 재실센서가 필요하고, 또 내가 사용하는 아이폰의 경우 "나의 찾기"에서 가족의 위치정보를 알 수가 없기 때문에 가족의 위치를 알기 위해서는 다른 앱이나 Apple 외 다른 서비스를 이용해야 한다. HA는 이 두가지를 한번에 해결가능한데, 바로 Home Assistant app (iOS)을 이용하는 것이다. 원래 재실센서는 nmap device tracker 을 사용하였으나 이후 위치정보도 추가로 이용하기 위하여 앱으로 변경하기로 하였다. 관련 내용은 https://www.home-assistant.io/integrations/mobile_app/ 에서 확인가..

IoT, 스마트홈 2023.08.07

Home-Assistant 업데이트 하기 (feat. Synology NAS, Docker)

Synology NAS 에 Home-Assistant Container 설치는 이전 글을 참고하자. 2019.10.14 - [IoT, 스마트홈] - NAS에 Home-assistant를 얹다 (feat 재실센서) Synology NAS docker에 설치한 Home-Assistant Container의 경우 HAOS와 달리 앱(?)내에서 업데이트하는 방법이 없어 Docker에서 최신 버전을 다운받아 설치해야 한다. HA 공식홈에 아래와 같이 설명이 되어 있어 따라하면 된다. 단 여기서 주의할 점이 태그를 선택할때, 최초 설치때와 같은 태그를 선택해야 한다. 설치를 latest로 했으면 latest로 다운, stable로 했으면 stable로 선택을 해야 설치가 된다. 다운로드가 완료되면 이후 다시 시작하..

IoT, 스마트홈 2023.08.05

NAS에 Home-assistant를 얹다 (feat 재실센서)

스마트홈 구축에 플랫폼을 최소화 하려고 했으나 재실센서가 필요해서 결국 Home-assistant(HA)를 설치하게 되었다. 재실센서란 집안에 사람이 있는지 없는지 판단하는 센서인데, 스마트폰을 이용해서 재실여부를 판단하는게 HA에만 있고 SmartThings(ST)에는 없기 때문이다. 그래서 겨우 이것 하나 때문에 HA와 HA-connector까지 설치를 해야한다. 그리고 이왕하는거 재실센서 말고도 추가로 HA를 좀더 활용해 보기로 했다. 먼저 설치법 (시놀로지 NAS 버전) 1. 이미지 다운 : Docker에서 → 레지스트리 → homeassistant 검색 → homeassistant/home-assistant 다운 → latest 버전 선택 2. 이미지 설치 : 이미지에서 해당 이미지 실행 그리고..

IoT, 스마트홈 2019.10.14

샤오미 온습도센서를 사다.

자동온도조절을 위해서는 ① 온도센서 ② 에어컨제어기 ③ 컨트롤타워가 반드시 필요하다. 에어컨제어기는 미리모트를 통해서 가능하고, 컨트롤타워는 라즈베리파이의 HA을 사용하기로 했다. 그러면 온도센서를 사야한다. Netatmo, Elgato 등등 종류는 많다. 비싸다. 그럴때는 샤오미! 중에서 이거! 이쁘다. 작다. 귀엽다. 그리고 싸다! 하지만 이것만 가지고는 안된다. 이게 zigbee 통신을 이용하기 때문에 이 신호를 잡을수 있는게 또 필요하다. 이런거 샤오미 게이트웨이 최신 버전으로 샀다. HA연동은? 가능하다. HA 연동이 가능한지 여부는 공식홈에서 Integrations에서 찾아보면 된다. Xiaomi gateway를 지원한다. 됐다. 거실에 게이트웨이와 센서를 설치하고, 먼저 MI Home과 연동..

IoT, 스마트홈 2019.10.11

샤오미 만능리모컨 (미리모트)를 사다.

구글홈미니와 mbox의 연동은 꽤 만족스러웠다. 한달동안 음성명령을 통해서 에어컨을 켜고 끌수 있어 매우 유용했다. 와이프님도 매우 만족하셨다. 뿌듯 근데 문제가 있다. mbox가 Home-assistant(HA)에 연동이 안된다. 자동화가 목적이었는데 이러면 곤란하다. 어쩔 수 없다. 다른 아이를 데려와야한다. 샤오미 만능리모컨 미 리모트 미안하다. 처음부터 너를 데려왔어야 하는건데... 근데... 이것도 문제가 있다. 구글홈미니와 바로 연결이 안된다. 다행히 HA와는 연동이 잘 된다. 또 문제가 있다. HA에서는 MI Home앱에서 미리 세팅된 LG 에어컨 리모컨 설정값을 가지고 올수 없다. 근데 HA에서 학습시킬 수는 있다. 그럼 리모컨을 가지고 학습을 시키자. 근데 안된다... 적외선 신호 값은 ..

IoT, 스마트홈 2019.10.11

라즈베리파이에 Home-assistant를 얹다.

Home-assistant(HA)는 스마트홈 플랫폼중 하나이다. 뭔지 잘 감이 안오는데, 쉽게 생각하면 애플 홈킷처럼 스마트기기들을 통합해서 연동하고 제어하는 프로그램이다. 예를들면 지금까지 필립스 휴 전구나 샤오미 기기들은 필립스 휴 앱이나 MI Home에 연결해서 써야했는데 이것들을 HA에 연결하여 여기서 하나의 프로그램으로 통합해서 제어할 수 있는거다. 여기에 연동을 하면 필립스 휴, MI Home 두개의 앱이 필요가 없어지고 하나의 프로그램으로 제어가 가능하다. 그리고 다른 앱에서 제공하지 않는 자동화도 할 수 있다. 스마트기기가 한종류 뿐이면 이런 플랫폼이 필요없겠지만, 기기가 늘어갈수록 이런 컨트롤 타워가 필요하다. 근데 사실 애플 홈킷이나 Google Home 앱으로도 웬만한 통합은 가능하긴..

IoT, 스마트홈 2019.10.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