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oT, 스마트홈

Home assistant + 라즈베리파이 + 키오스크 설정기 (4) - HAOS 기본설정

Dr CK 2023. 10. 12. 23:03
반응형

관련글

2023.10.02 - [IoT, 스마트홈] - Home assistant + 라즈베리파이 + 키오스크 설정기 (1) - 라즈베리파이 터치스크린, 라즈비안 설치

2023.10.05 - [IoT, 스마트홈] - Home assistant + 라즈베리파이 + 키오스크 설정기 (2) - Pimox, HAOS 설치

2023.10.09 - [IoT, 스마트홈] - Home assistant + 라즈베리파이 + 키오스크 설정기 (3) - 라즈베리파이 키오스크 설정하기

2023.10.12 - [IoT, 스마트홈] - Home assistant + 라즈베리파이 + 키오스크 설정기 (4) - HAOS 기본설정


기본적인 설정으로 먼저 애드온들을 설치하려고 한다. 스마트 디바이스 추가나 구성원 추가 등등은 container 쓸때도 했던 것들이니 HAOS를 설치했으니 HAOS에 맞는 초기설정들을 하려고 한다.

1. File editor

HA 내부의 파일에 접근을 할 수 있게 한다. HA의 탐색기 겸 메모장 역할을 할 수 있다.

설정 - 애드온 - 애드온 스토어에서 Official add-ons에서 File editor을 선택하여 설치하면 된다.

File editor의 역할을 하는 다른 애드온들도 있긴 하지만 나는 공식 애드온을 선호하기 때문에 이걸로 설치할거다.

 

2. Terminal & SSH

사실 다른것 구성하고 나면 크게 유용한 애드온은 아닌것 같은데, HACS를 설치하는데 필요한 애드온이다.

마찬가지로 Official Add-ons에서 찾을 수 있는데, 처음에는 안보인다.

User 설정에서 고급 모드를 활성화 하면 그때서야 애드온 스토어에 나타난다.

3. HACS

위에 Terminal을 설치한 이유가 HACS를 설치하기 위해서다.

Container 때와 설치법이 비슷하다. 자세한건 참고

2023.08.16 - [IoT, 스마트홈] - Home assistant container에 HACS 설치하기

 

Home assistant container에 HACS 설치하기

HACS (Home Assistant Community Store) 는 HA에서 공식지원하는것 외에 유저들이 만들 여러가지 유용한 기능들을 사용할 수 있게 해주는 것이다. Home Assistant Community Store | HACS HACS gives you a powerful UI to handle d

drck.tistory.com

위에서 설치한 터미널을 열고 아래의 명령어를 입력하고, 이후 구성요소에서 HACS를 추가하면 된다.

wget -O - https://get.hacs.xyz | bash -

 

4. Duck DNS & 외부접속

스마트홈은 외부에서 접속이 안되면 의미가 떨어진다. 이전 시놀로지 NAS에 HA container을 올렸을때는 시놀로지 NAS만 외부접속이 된다면 거기에 껴서 HA에 접속이 가능했다.

이제 NAS는 사용하지 않을 예정이니 다른 외부접속 루트가 필요하다.

Duck DNS라고 Official Add-on이기도 하고, 무료로 DDNS를 제공하는 서비스이다. 

 

애드온을 설치하고, Duck DNS 홈페이지에가서 가입을 하자 (https://www.duckdns.org/)

가입을 하고 집에서 원하는 domain을 쓰기만 하면 끝난다.

간단하게 DDNS 설정이 되었지만, 외부접속까지 하려면 포트포워드를 해줘야 한다.

Iptime 기준으로 192.168.0.1 에 접속해서 로그인 → 고급설정 → NAT/라우터 관리 → 포트포워드 설정에서 설정을 해준다.

나의 경우에는 NAS도 쓰고 있기 때문에 포트포워드 된게 좀 있는데, 이번에 새로 라즈베리파이 + proxmox + HAOS를 올린건 192.168.0.178 이다.

내부 ip에는 HAOS의 ip 주소, 외부 포트는 적당히 써주면 되는데, 동일한 8123은 쓰고 있어서 8124로 설정하였다.

내부포트는 HAOS 접속하는 포트가 8123이므로 8123만 써주면 된다.

그래서 접속할때 id.duckdns.org:8124로 접속을 하면 된다.

포트포워드는 외부에서 공유기를 통해서 내부로 접속하는 세부 주소를 알려주는 건데, 여기서 설정한 것은 "외부에서 Duck DNS를 통해서 8124의 포트로 들어오면 내부의 192.168.0.178:8123 으로 연결시켜준다" 이다.

 

5. Matter server

이전 HA container에서는 Matter server를 어렵게 설치했다면 HAOS에서는 Add-ons으로 쉽게 설치가 가능하다.

Official Add-ons에서 Matter server을 설치하고, 구성요소에서 matter을 구성하면 되고, 나머지 설정은 이전 포스트 참고하자.

2023.08.13 - [IoT, 스마트홈] - Matter & Home assistant